다양한 주제로 글을 작성합니다. 특히 경제쪽 분야 위주로 작성하고있습니다.

All of my long-form thoughts on programming, leadership, product design, and more, collected in chronological order.

FTX 사태 기사 타임라인별 보기

일반

블랙스완처럼 터지고나니까 FTX도 모두가 원래도 망할 폰지기업이라고 비난한다. 정말 FTX가 터질 수 밖에 없던 폰지기업이였을까?

자본의 이동

경제

20세기 산업자본가들이 귀족 권력을 대체했듯, 21세기엔 실리콘밸리 너드들이 새로운 권력으로 부상했다. IT는 소수 인원으로도 막대한 부를 창출하며 기존 산업 구조를 뒤흔들고 있다.

KDI 환율문제 중 킬러문제해설

경제

KDI 환율문제의 핵심은 수출업자의 환전 시점 선택이다. 미국 금리가 높을 땐 달러 보유가 유리하고, 한국 금리 인상 시 환전이 유리해진다. 환차손 방지를 위해 NDF 시장에서 환헤지를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이전의 핸드폰과 테슬라

일반

스마트폰처럼 자동차도 운영체제가 구매 기준이 되는 시대가 오고 있다. 과거엔 성능이 중요했지만, 이제는 테슬라나 벤츠처럼 소프트웨어 중심의 차량이 주목받고 있다.

집단의 다양성에 대한 생각

일상

집단 내 동일한 의견과 행동은 때로는 효율을 낳지만, 군중심리로 인한 맹목적 추종은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다양한 시각과 비판적 사고가 집단을 건강하게 만든다.

한국의 미국주식 주간거래

경제

한국의 미국주식 주간거래는 삼성증권의 독점 도입 이후 급격히 성장해 거래량이 30배 증가했다. 로빈후드, 제인스트리트 등 글로벌 파트너십도 확장 중이며, 향후 STO 기반 24시간 거래소 출범도 예정돼 있다.

앞으로의 10년과 나스닥

일반

아시아·아프리카 인터넷 보급 확대와 글로벌 결제 인프라의 진화는 미국 빅테크에 유리한 구조를 만들고 있다. 스타링크, 블록체인, 플랫폼·콘텐츠의 결합은 나스닥의 장기적 상승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시장의 메타와 미디어

경제

시장은 항상 메타와 미디어의 영향을 받는다. 유명 인사가 특정 종목을 추천하면 사람들은 열광하지만, 실상은 다를 수 있다. 도지코인을 극찬했던 억만장자가 실제로는 500달러만 투자한 사례처럼, 미디어의 메시지는 신중히 살펴봐야 한다. 또한, 어떤 기업을 추천하는 이조차도 그 기업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는 경우도 있다. 헤지펀드가 공매도를 위해 미디어를 활용하고, 언론이 특정 서사를 퍼뜨려 시장을 움직이는 사례도 많다.

부머 세대에 대한 비판

일반

'가장 위대한 세대'는 교통·산업·우주 탐사까지 혁신을 이뤘지만, 부머세대는 히피문화와 자산버블 중심의 경제에 머물렀다는 비판이다. 기술 발전 없이 기득권만 강화된 시대라는 시선이 담겨 있다.

투자자를 위한 영화 12선

경제

금융위기, 사기, 탐욕, 혁신 등 다양한 시선을 담은 투자 관련 영화 12편을 소개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부터 풍자와 교훈까지, 투자자라면 꼭 봐야 할 필수작들이다.